보건의료

미세먼지 장기간 노출···심근경색 위험 높인다

고려대 병원, 국제학술지 발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면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응급질환이다.

 

급성심근경색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은 한국인 사망 원인 2위다.

 

대기오염이 급성심근경색 유발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나승운 교수 연구팀은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초응급질환인 ‘ST절 상승 심근경색’을 비롯해 심인성 쇼크 합병증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논문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고 12일 밝혔다.

 

‘ST절 상승’은 심장의 큰 혈관이 혈전 또는 강력한 혈관 수축 등의 원인으로 폐쇄될 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심전도 파형이다. ST절 상승 심근경색은 그렇지 않은 유형의 심근경색보다 더 급박하게 조치해야 하는 초응급질환이다.

 

 

연구진은 ‘한국인급성심근경색 레지스트리’에 2006~2015년 신규 등록된 19세 이상 급성심근경색 환자 4만 5619명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기존의 연구 대부분은 주로 단기간의 대기오염 노출과 급성심근경색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데 중점을 뒀으나, 이번 연구는 장기간의 고농도 대기오염 노출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급성심근경색 환자들이 증상이 처음 발생했을 때의 1년 평균 대기오염 농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단위면적당 대기오염 농도가 짙어질수록 심근경색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T절 상승 심근경색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서 미세먼지 농도가 1μg/m3 짙어질 때마다 발병 위험이 비ST절 상승 심근경색 대비 0.9%씩 더 높아졌다.

 

또 병원내 심인성 쇼크 합병증의 발생 위험도 고농도의 미세먼지와 이산화황에 노출될 경우 각각 3.3%, 10.4% 증가했다. 급성심근경색 환자 중 5~13%에게 발생하는 심인성 쇼크는 적절한 치료를 하더라도 예후가 좋지 않다. 병원내 사망률은 20~40%, 1년 사망률은 최대 50%에 달한다.

 

나승운 교수는 “이 연구는 대기오염 노출과 심근경색 발생의 장기적 연관성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며 “고농도 대기오염 노출을 줄이는 것이 잠재적 심근경색 발생 및 사망률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