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남자들에게만 발생하는 이 병은 어디에 대놓고 말하기도 어렵고 혼자 끙끙 앓는 질환이다. 무조건 병원에 가야 한다. 조기 치료를 하면 개선이 될 수 있다. ‘페이로니병’이라고 불리는 ‘음경만곡증’이다. 남성 비뇨기의 기능 관련 질환으로는 발기부전이나 조루증이 가장 많은데 이 병은 그만큼은 아니지만 아주 드물지는 않다. 평소에는 멀쩡하게 보이지만 발기 시에만 음경이 휘고 통증을 일으키며 발기력이 떨어지고 삽입을 어렵게 만든다. 혹자는 바나나처럼 휘어진 음경이 성적 자극을 강하게 줄 수 있다고도 말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 중년 남성에게 주로 발생하고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다. 국외의 문헌에 의하면 30대는 0.15%, 40대는 3.0%, 50~60대는 4.0%, 70대 이상은 6.5%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이 병을 보고한 프랑스 의사 페이로니의 이름을 따서 페이로니병(peyronie’s disease)이라고 한다. 음경 속에는 물풍선 같은 음경해면체가 있다. 성적 자극을 받으면 여기에 피가 몰려 발기가 이뤄지고 사정을 하고 나면 피가 빠져나가 원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해면체는 백막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 곳 일부에 딱딱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남성의 음경에는 두 가지 질환이 있다. 우선 남성 암 중에서 1% 이하를 차지하는 매우 드문 음경암이 있다. 또 하나는 보기가 민망하지만 음경이 발기할 때 한쪽으로만 휘고 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병이다. 우리말로 ‘음경 만곡증’이라고 불리는 페이로니병(peyronie’s disease)이다. 발기할 때 음경이 심하게 휘어지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표시가 잘 나지 않는다. 아래쪽과 왼쪽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가장 많다. ◇발병 원인 음경에는 백막이라는 막이 있는데, 백막에 미세한 상처가 나면 섬유화 결절이 생겨 조직 일부가 굳는다. 이것이 백색막의 팽창을 방해해 발기될 때 음경이 구부러지는 것이다. 증상이 심하면 음경이 90도로 꺾이기도 하고 음경 중간이 잘록해지는 모래시계 모양이 되기도 한다. 1561년에 의학계에 처음 보고되었다. 이 질환은 중년의 남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는데 아주 희귀한 질병은 아니고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국외의 문헌에 의하면 30대는 0.15%, 40대는 3.0%, 50~60대는 4.0%, 70대 이상은 6.5%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이 있다. 선천적 이유로는 좌우 측 해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