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국내 모든 의사가 가입된 법정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이달 18일 하루 전면 휴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의정갈등 국면에서 집단행동에 나서는 첫 사례다. 앞서 서울대 등 의대 교수단체들도 의협과 보조를 맞추기로 해서 대형 병원부터 동네 의원까지 국내 의료기관이 전면 문을 닫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는 비상상황이 됐다. 실제로 18일 전면 휴진이 강행된다면 2000년(의약분업), 2014년(원격진료), 2020년(의대증원)에 이어 의협 차원의 네 번째 집단행동이 된다. 의협이 지난 4~7일 회원 11만여 명을 상대로 실시한 투표 결과는 ‘의협의 강경 투쟁을 지지하는가’라는 질문에 90.6%, ‘의협이 6월 중 계획한 휴진을 포함하는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느냐’는 질문에 73.5% 찬성이었다. 투표율은 63.3%였다. 의협은 9일 전국의사대표자회의를 열고 “회원 투표 결과에 따라 오는 18일 전면 휴진하고 의대생·국민도 함께 참여하는 총궐기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정부는 의사들 희생으로 겨우 유지한 고사 직전의 한국 의료를 사망으로 내몰았다. 14만 의사들이 정부와 여당에 회초리를 들고, 국민과 함께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정부가 전공의 행정처분을 전면 취소하지 않고 의료사태의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가 시행되지 않는다면 6월 17일부터 응급실,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한 모든 병동에서 전체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7일 밝혔다.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3.4%가 휴진을 포함한 강경 투쟁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전체 휴진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정부가 모든 전공의에 대한 진료유지명령과 업무개시명령을 완전히 취소하고, 자기결정권 박탈 시도로 현 사태가 악화된 것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가시적인 조치를 취할 때까지 전면 휴진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4일 전공의들의 현장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소속 수련병원에 내린 진료유지명령과 업무개시명령,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등 각종 명령을 철회하고 면허정지 행정처분 절차를 중단하기로 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그러나 정부의 행정처분 절차 중단은 행정처분을 재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고 완전 취소를 요구하고 있다. 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의료 개혁 관련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의료 개혁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하는 의료계를 향해 “의료계가 증원 규모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집단행동이 아니라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안해야 마땅하다”며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가져온다면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 증원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의료계에 과학적 대안을 갖고 대화에 나서 달라고 촉구한 것이다. 의정 갈등의 핵심인 증원 규모와 관련해 재조정 논의의 문은 일단 열어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윤 대통령은 “불법 집단행동을 즉각 중단하고 합리적 제안과 근거를 가져와야 한다”며 “정부가 충분히 검토한 정당한 정책을 절차에 맞춰 진행하는 것을 근거도 없이 힘의 논리로 중단하거나 멈출 수는 없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2000명 증원과 관련해 “정부가 꼼꼼하게 계산해 산출한 최소한의 증원 규모이고, 이를 결정하기까지 의사단체를 비롯한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를 거쳤다”고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