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배혜정 서울대학교 약제부 의약정보파트장 청소년 10명 중 1명은 마약류 진통제인 펜타닐 패치를 사용한 경험이 있고, 향정신성 의약품인 식욕억제제 (나비약) 복용 경험도 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매체이용 유해환경 실태조사, 2022) ADHD 치료제, 메틸페니데이트는 어떤 약일까 작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치료제를 ‘공부 잘하는 약’, ‘집중력을 올려주는 약’으로 부당광고, 불법 유통한 업체를 적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처방 없이 구입 가능한 일반의약품인 감기약 중에서도 마약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인 에페드린 성분이나, 향정신성의약품인 덱스트로메토르판 성분 등이 포함된 경우 오남용될 수 있 어 주의가 필요하다. 메틸페니데이트는 ADHD 치료제로, 신경 전달 물질을 조절하고 중추 신경계를 자극하여 집중력과 각성 효과를 높인다. 하지만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에게 투여한다고 해서 주의력이나 집중력이 더 높아지지는 않는다고 한다. 다시 말해 공부 잘하게 해주는 약(속칭, ‘공부 잘하는 약’)은 없으며 오히려 부작용에
한국헬스경제신문 | <이정한 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 임상조교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이의 부모들에게 3월은 긴장의 연속이다.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적응은 잘하는지, 말썽을 부리지는 않는지, 혹시 예상하지 못했던 일들이 발생하지는 않을지 걱정이 된다. 아이의 학교 적응을 위해 휴직을 하거나 일을 그만두는 엄마들이 드물지 않은 것은 학교 적응에 대한 부모의 마음을 반영한 현상이다. 이러한 와중에 담임선생님이 아이에 대해 걱정스러운 얘기를 한다면 청천벽력이 아닐 수 없다. ADHD란 무엇인가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줄임말로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충동성을 3대 증상으로 하는 신경 발달 장애이다. 유전적 영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크게 작용하며, 일부 환경적 영향(조산 등)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아동의 7% 이상이 ADHD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 방식에 따라서 더 높은 비율로 보고가 되기도 한다. ADHD는 연령과 상관없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입학 후 수업 태도나 또래 관계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