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 시작페이지로
  • 즐겨찾기
  • 회원가입
  • 로그인

한국헬스경제신문

  • 배너
  • 동두천 8.0℃구름많음
  • 강릉 11.2℃맑음
  • 서울 9.9℃구름많음
  • 대전 10.7℃구름조금
  • 대구 11.3℃맑음
  • 울산 12.1℃맑음
  • 광주 10.7℃맑음
  • 부산 13.3℃맑음
  • 고창 11.6℃구름많음
  • 제주 13.6℃구름조금
  • 강화 8.0℃구름많음
  • 보은 8.6℃구름조금
  • 금산 9.7℃맑음
  • 강진군 12.0℃맑음
  • 경주시 11.7℃맑음
  • 거제 12.0℃맑음
기상청 제공

2025.11.26(수)

  • 메뉴
  • 전체기사
  • 헬스
  • 의료/질병
  • 식품/영양
  • 환경/노동
  • 산업
  • 주거/부동산
  • 문화/사회
  • 라이프/뷰티
  • 성/젠더
  • 사람
  • 칼럼
닫기
  • 전체기사
  • 헬스
  • 의료/질병
  • 식품/영양
  • 환경/노동
  • 산업
  • 주거/부동산
  • 문화/사회
  • 라이프/뷰티
  • 성/젠더
  • 사람
  • 칼럼

의학

  • 홈
  • 질병/의료
  • 의학
  • [칼럼] 씹는 힘 떨어지면 오래 못산다...건강치아 Tip

    한국헬스경제신문 <강남하나로의료재단 주수원 치과원장> | 예로부터 치아는 삶의 오복 중 하나로 꼽혀왔다. 잘 씹을 수 있는 것이 건강 유지와 장수에 중요하다는 방증이다. 평소 치아 관리를 잘해두면 평생의 건강 유지에 큰 도움이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매년 1회의 구강 검진을 통하여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수국가로 유명한 일본은 80세에도 20개의 치아를 유지하자는 ‘8020 캠페인’을 벌인다고 한다. 그 정도로 노년 건강과 정신 건강은 치아의 건강 여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구강 검진을 통해 치아우식증, 치주 질환, 부정 교합의 유무 등을 미리 알 수 있으니 검진을 습 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소아청소년기엔 치아우식증 및 부정 교합 관리 필요 아동기에 치아의 상실을 유발하는 원인은 치아우식증이 대부분이다. 입안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되어 충치가 생기는 치아우식증은 골격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부정 교합을 일으킨다. 반면에, 성인기에는 치주 질환이 치아 상실의 제일 큰 원인이 된다. 자각증상이 별로 없어 치조골이 상당 부분 파괴되고 치아를 살리기 어려운 상태에 이르러 병원을 찾게 되기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

    • 배지원 기자
    • 2023-01-08 08:14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많이 본 기사

더보기
  • 1

    “명백한 동의 없는 성행위는 강간”…프랑스 ‘비동의 강간죄’ 도입

  • 2

    현대제철, 당진 종합병원 건립 위해 1천110억원 기부

  • 3

    [궁금한 건강] <70>귓불 주름 ‘프랭크 징후’, 심장병 전초증상?

  • 4

    제왕절개 요청에도 자연분만해 신생아 장애…“6억원 배상해야”

  • 5

    [궁금한 건강] <65>산림욕 어떤 효과가 있나

  • 6

    하림그룹, 식품 유통 패러다임 주도할 ‘하림 파트너스’ 모집한다

  • 7

    [건강한 밥상] <20>‘하얀 결정’ 생긴 오래된 꿀, 먹어도 괜찮나?

  • 8

    [채소/과일 열전] <23>귤, 감귤, 밀감은 다른 과일인가

  • 9

    [Love&Sex] <30>사정 자주 할수록 전립선암 위험 낮아진다

  • 10

    필수의료 분야 의료사고 배상보험료, 정부가 50∼75% 지원


  • 신문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박정민)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기사제보
  • 문의하기
로고

법인명 : (주)국가정책전략연구원 | 제호 : 한국헬스경제신문 | 대표 : 김혁
등록번호 : 서울,아54593 | 등록일 : 2022-12-07 | 발행인 : 김혁, 편집인 : 한기봉
주소: (04520)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15(남강타워빌딩) 902호 | 전화번호: 02-3789-3712
Copyright @한국헬스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11월 25일 21시 51분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