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료

국민 10명 중 7명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필요”

정부, 여론조사 결과 공개
연령 높을수록 ‘증원 찬성’ 많아
79% “의대 교수 집단행동 공감 못해”
56% “법과 원칙 따라 전공의 면허정지해야”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의대 정원 증원이 의사단체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의대 증원 방안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지난 14~15일 18세 이상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2,000명 증원에 찬성한 국민은 72.4%(‘매우 필요’ 26.1%, ‘필요한 편’ 46.3%)였다.

 

의료계의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7.8%였다. 또 의대 교수 집단행동에 대해서도 78.7%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정부의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의료계가 참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71.8%로 우세했다.

 

의료현장을 이탈한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면허정지 처분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55.7%로 강경한 입장이 절반을 넘었다. ‘면허정지 처분을 중지하고 대화를 통해 설득해나가야 한다’는 응답은 38.9%였다.

 

2025학년도 대학입시 의대 정원 50~100% 자율 모집 조치에 대해서는 ‘잘한 결정’이라는 평가가 51.4%로 절반이 넘었다.

 

 

응답자의 나이에 따라 찬반 입장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2000명 증원이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들을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78.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50대(72.1%), 40대(70.1%), 20대(68.3%), 30대(67.8%) 순이었다. 소득 수준으로 보면 400∼600만 원(73.1%), 600만 원 이상(78.2%)에서 상대적으로 찬성 비율이 높았다.

 

이념성향으로는 보수층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82.1%로 가장 높았고, 중도(70.9%), 진보(68.3%)에서도 70% 가까이 찬성했다.

 

교수 집단행동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모든 연령대에서 70% 이상을 웃돌았는데, 60대 이상에서 84.8%로 특히 높았다.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에 동의한 사람은 젊은 층인 20대(68.3%)에서 가장 높았다. 30대(55.7%)와 40대(54.2%). 60대(55.4%)에서는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고, 50대(47.2%)는 절반을 밑돌았다.

 

응답자들은 보건의료 분야 위기의 심각성을 묻자 87.3%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정부 대응에 대해서는 미흡하단 평가가 많았다. 의료공백으로 빚어진 비상 상황에 정부가 대응을 ‘잘하고 있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27.5%에 그쳤다. 65.3%는 ‘잘못하고 있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