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로 트럼프 정권의 실세가 된 일론 머스크(53)가 자신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낳았다고 주장한 20대 여성에게 총 250만 달러(약 33억 원)를 지급했다고 말했다.
보수 성향의 인플루언서인 애슐리 세인트 클레어라는 미국 여성은 최근 “머스크가 자녀 양육비를 60% 삭감했다”고 주장하며 고급 테슬라 차량을 팔겠다고 영국 데일리메일을 통해 공개한 후 나왔다.

클레어는 뉴욕 맨해튼 자택 앞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머스크가 보복을 위해 의도적으로 양육비를 깎았다고 생각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머스크는 여성들이 입을 열면 늘 그런 식이었다”고 머스크를 비판했다.
그러자 머스크는 즉각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그는 “그 아이가 내 아이인지 아직 확실치 않다”면서도 “사실 여부를 알아보는 데 반대하지는 않는다. 법원의 명령이 필요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이 발언 전에 법원은 머스크에게 친자 검사를 명령했다..
머스크는 이어 “친자를 확신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지금까지 애슐리에게 250만 달러를 지급했고, 매년 50만 달러씩 추가로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실제 양육비 지급이 축소됐는지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세인트 클레어는 올해 2월 SNS를 통해 출산 사실을 공개하며 “아이의 사생활을 지키기 위해 그동안 밝히지 않았지만, 최근 일부 언론이 이를 폭로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공개하기로 했다”며 “5개월 전 낳은 내 아이의 아버지는 머스크”라고 말했다. 그는 “머스크가 지금까지 단 3번 아이를 만났고, 아이의 양육이나 돌봄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면서 친자 확인 및 양육권 청구 소송을 냈다.

머스크는 첫 부인인 판타지 소설 작가 저스틴 윌슨과 2000년 결혼해 6명의 자녀를 낳았고 2008년 이혼했다. 첫 번째 자녀는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으로 사망했다. 이혼하기 전 두 차례 인공수정을 통해서 각각 쌍둥이와 세쌍둥이를 낳았다.
그는 두 번째 아내인 탈룰라 라일리와는 2010년 결혼해 2012년 이혼 후 그다음 해 재결합했다가 2016년 최종 이혼했다. 둘 사이에는 자녀가 없다.
이후 머스크는 더 이상 결혼하지 않고 자녀만 낳았다. 사실혼 관계에 있던 캐나다 가수 출신 그라임스와 2020년 5월 아들을 낳았고, 이후 대리모를 통해 딸과 아들을 낳았다.
머스크는 이어 자신이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임원인 캐나다 인공지능 전문가 시본 질리스와의 사이에 아이를 네 명 가졌다. 체외수정을 통해 2021년 11월 쌍둥이를 얻었고 이후 지난해 2월 셋째가, 최근 넷째가 태어났다.
이번 클레어의 친자 주장이 사실로 확정될 경우, 머스크의 자녀 수는 총 14명이 된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실세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는 세계적인 저출생 현상을 자주 우려하는 발언을 하면서 대표적 사례로 여러 번 한국을 언급했다. 그는 “한국 인구의 3분의 2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