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질병관리청의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루 동안 채소와 과일을 권장량인 500g 이상 섭취하는 비율은 겨우 22.1%였다.
10명 중 8명이 필요한 양의 야채 과일을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이가 어릴수록 두드러졌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적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40대의 채소·과일 섭취 부족은 심각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암연구소(IARC)는 오랫동안 채소와 과일이 암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해왔다.

야채와 과일에는 파이토케미컬을 비롯해 비타민·미네랄·식이섬유 등 항산화 작용과 면역 증진에 기여하는 성분이 다량 포함돼 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채소·과일 섭취가 부족하면 대장암·위암·폐암 등의 발병 위험이 30~4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023년 영양 분야 국제학술지 ‘뉴트리언츠’에 실린 메타분석 연구는 특히 파이토케미컬 중 하나인 플라보노이드가 위암과 폐암의 발병률을 대폭 낮춘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그러나 바쁜 일상, 1인 가구의 증가, 육류 섭취 증가, 가공식품 선호도 증가 등으로 채소·과일의 섭취는 점점 줄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약해지고, 각종 독성물질의 체내 축적이 가속화해 암을 비롯한 만성질환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채소·과일을 먹기 힘들면 착즙 주스 형태로 먹어도 똑같은 영양 섭취가 가능하다. 착즙 주스를 만들 때는 다양한 색깔의 채소와 과일을 섞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