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물은 세포를 유지하고, 영양소를 운반하며, 땀이 되어 체온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체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다. 전문가들은 보통 하루 2리터 정도 마실 것을 권장한다. 그런데 물을 지나치게 많이 마시면 위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을 벌컥벌컥 마시면 쓰러질 수 있다. 심지어 죽음에까지 이르는 사례도 있었다. 우리 몸은 24시간 거의 일정한 전해질(나트륨) 농도를 유지한다. 그런데 더운 날 땀으로 물만 빠져나가면 몸의 전해질 농도가 높아지면서 이 균형이 무너진다. 그래서 땀에 전해질도 함께 배출해서 균형을 유지한다. 땀이 짭조름한 게 그 때문이다. 그런데 탈수증이 왔다고 갑자기 다량의 맹물을 마시면 전해질 농도는 급락하면서 이 균형이 무너져 몸에 이상반응이 올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물중독증’, 또는 ‘수독’(水毒) ‘수분중독’이라고 한다. 즉 탈수증과 물중독증은 양극단이면서도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물중독증 원인 물을 과도하게 마시면 체내의 나트륨 농도가 떨어져 세포가 부풀어 오른다. 신장은 체내의 물과 염분을 필터링하는 주요한 기관이므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여름이 됐다지만 유난히 땀이 많이 나고 남보다 더위를 많이 탄다면 갑상샘 이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갑상샘은 목 중앙에 나비 모양으로 생긴 내분비기관이다. 갑상샘 호르몬을 혈액으로 내보내 심장 운동, 위장관 운동, 체온 유지 등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함으로써 모든 기관이 제 기능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해준다. 이 호르몬이 대사가 빨라져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면서 몸의 에너지가 빨리 소모돼 기능이 떨어지는 질병이 '갑상샘기능항진증'이다. 몸이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것인데, 남는 에너지는 열과 땀의 형태로 발산돼 환자는 유난히 더위를 느끼게 된다. 갑상샘 기능이 떨어지면 심박 수가 빨라지고 혈압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빠르게 숨이 차고 지치며 체중이 빠진다.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는 눈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안구 돌출 증상도 발견할 수 있으며 배변 횟수가 증가하며 때로는 설사를 하기도 한다. 신경이 예민해지고 불안해져 흥분을 잘 하고 주위 사람들과 다투는 경우가 많다. 갑상샘기능항진증은 여름에 발병이 잘 되며 재발 혹은 악화되기 쉽다. 시원한 곳인데도 덥게 느껴지고, 가만히 있어도 계속 더위가 느껴지며 땀이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