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 이상이 생겨 시력이 감퇴하고 실명으로 갈 수 있는 질병이다. 주로 노인층에게 발병한다. 황반변성 치료제는 2023년 처음 미국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받은 주사제 두 종류가 전부다. 하지만 눈 뒷면인 만큼 주사에 따른 합병증 우려가 있다. 국내 연구진이 주사 방식이 아닌 눈에 안약을 떨어뜨리는 방식의 치료 후보 약물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천연물신약사업단 서문형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건성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펩타이드 물질을 발굴하고 쥐 실험을 통해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황반변성 주요 발병 원인인 톨유사수용체(TLR)의 염증 신호에 주목해 신호전달 단백질에 결합해 발병을 막는 펩타이드 물질을 발굴했다. 펩타이드는 2~50개 아미노산이 연결된 단백질 분자로 세포 침투도가 높아 약물 전달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이 펩타이드를 건병 황반변성에 걸린 쥐의 눈에 점안 투여한 결과 정상 쥐와 비슷한 수준으로 망막 세포를 보호할 뿐 아니라 망막 변형도 감소했다. 연구팀은 점안제 형태로 약물을 개발하면 환자 치료 편의성과 순응도를 높일 수 있고 치료 비용도 줄일 수 있을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이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세상이 또렷하게 보인다면? 비상이다. 콘택트렌즈를 빼지 않고 잔 것이다. 귀찮거나 술에 취해 한두 번쯤이야 괜찮겠지 하는 생각으로 렌즈를 빼지 않는 습관이 들면 당장은 큰 문제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눈 건강에 큰 위험을 주고 심각하면 시력까지 잃을 수 있다. 끼고 자도 괜찮다는 장기 착용 콘택트렌즈도 나왔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어 안과 의사들은 권유하지 않는다. 콘택트렌즈를 끼고 자면 내 눈에 무슨 문제가 생길까. ◇산소 공급 차단돼 충혈이나 안구건조증 잠을 자는 동안에는 눈꺼풀이 닫히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차단된다. 눈물의 순환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으면 되는데 닫힌 눈꺼풀과 각막 사이에 콘택트렌즈가 밀착돼 있으면 눈물이 원활하게 순환하지 못한다. 각막의 산소투과율이 떨어지면 눈이 충혈되거나 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렌즈는 눈의 수분을 흡수한다. 잠든 동안에는 눈물 분비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렌즈를 끼고 자면 눈이 더욱 메말라져 각막 표면 손상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눈과 렌즈가 지나치게 건조해지면 특히 렌즈를 제거할 때 눈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