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고령층 자살률은 대부분 나라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지만 우리나라 고령 남성의 자살률은 세계에서도 유독 높다. 전 연령층을 합하면 남성이 여성보다 2.1배 많은데, 80세 이상 남자 자살률은 여자보다 무려 3.9배나 높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이 27.3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38.3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전체 자살 사망자 수는 1만 3978명으로 전년 대비 1072명(8.3%) 증가했고 1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남성와 여성의 차이가 컸다. 지난해 남성 자살 사망자는 9747명, 자살률은 38.3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여성 자살 사망자는 4231명, 자살률은 16.5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 자살률이 59.4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70대 39명, 50대 32.5명, 40대 31.6명, 60대 30.7명 순이다. 자살 증가폭은 60대가 1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 12.1%, 10대 10.4% 순이다. 남성 고령자가 극단 선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희망철도재단이 마음치유 단체들과 함께 지난 7일 서울역 대합실 3층에서 ‘자살예방의 날 캠페인’을 진행했다. (희망철도재단)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이 27.3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38.3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자살률은 줄어들다가 10여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특히 70대 이상 자살률이 높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2.1배 많았다. 80세 이상 남자 자살률은 여자보다 3.9배 높았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자살 사망자 수는 1만 3978명으로 전년 대비 1072명(8.3%)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전년 대비 2.2명(8.5%) 증가, 2013년(27.3명) 이후 10년 만에 최대치였다. 자살률은 10년 전인 2013년(28.5명)부터 꾸준히 낮아져 2017년 24.3명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약간 높아져 25~26명대 사이였다가 지난해 다시 10년 전 수준으로 높아졌다. 2022년 남성 자살 사망자는 9010명으로, 자살률은 35.3명이었으나 지난해는 사망자 수 9747명, 자살률 38.3
한국헬스경제신문 임동혁 기자 | 정부가 주요 선진국에서 자살률 1위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신 건강 챙기기에 적극 나선 가운데, 오는 27년까지 현재보다 30% 줄이기로 했다. 특히, 우울증 등 정신건강 위험 신호를 재빨리 발견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기존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또한 정신건강검진에 우울증과 더불어 조현병, 조울증으로 검사 질환을 확대하고,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생명존중안심마을을 조성한다. 정부는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14일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개최해 이 내용의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년)'을 확정, 2027년까지 자살률을 30% 감소시키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자살예방상담전화 인력 충원으로 응대율 90%를 확보하고 SNS 자살예방상담 서비스를 도입 한다. 자살시도자,유족에는 치료비 1인당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한다. 자살예방기본계획은 자살예방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자살예방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종합계획이다. 이번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은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2021년 기준 26명이었던 자살률을 2027년까지 18.2명으로 30% 감소하는 것이 목표다.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