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냉장고에 냄새가 나기 시작하면 건강이 위험해질 수 있다. 냄새가 난다는 건 냉장고에 넣어둔 식재료가 이미 상했다는 반증이다.
냉장고 냄새는 식품을 밀폐용기에 넣지 않고 그대로 보관하거나, 냉장실 온도가 높게 설정돼 있거나, 음식이 유효기간이 지났을 때 생긴다.
냉장고 문을 열었을 때 확 냄새가 풍겨오면 식자재부터 점검해야 한다. 색이 변했거나 냄새나는 음식, 유통기한이 지난 식자재는 꼭 버린다. 식중독균에 이미 오염됐을 가능성이 크다. 상한 음식을 치울 땐 위생 장갑이나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정상적 음식을 만질 땐 장갑을 벗거나 새것을 낀다. 그렇지 않으면 손에 묻은 식중독균이 다른 음식으로 옮겨갈 수 있다.
냉장고를 청소하기 전에는 냉장고 안에 있는 모든 식자재를 다 꺼내야 한다. 이후 냉장고 서랍과 선반을 꺼내 비눗물로 세척하고, 마른 천으로 닦아낸다. 내부는 소독제와 세척제로 닦아준다.
소주를 분무기에 담아 음식물이나 기름때가 낀 냉장고 안에 뿌려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5분 뒤에 해당 부위를 수세미로 문지르면 된다. 또한, 소주병 마개를 열어 냉장고에 넣어 두면 알코올 성분이 냉장고 냄새를 제거한다. 따로 물로 닦을 필요가 없어 간편하다.

냉장고 냄새를 줄여주는 탈취제는 숯이나 원두 찌꺼기가 좋다. 숯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많고, 분자 구조가 그물망과 비슷해 냄새 원인 물질이 잘 달라붙는다. 통째로 냉장고 안에 넣어 두면 된다.
원두 찌꺼기를 넣어두면 원두 속 셀룰로스가 냄새를 흡착해 악취가 잡힌다. 단, 충분히 말려서 넣어야 한다. 수분을 조금이라도 머금은 상태에서 냉장고 안에 넣었다간 곰팡이가 증식한다.
우유를 이용해 탈취하는 방법도 있다. 우유에 함유된 지방은 악취를 잡는 데 효과적이다. 입구가 넓은 그릇에 우유를 담아 냉장고 구석에 넣어두면 된다.
김치통 점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김치통을 제대로 밀폐하지 않고 보관하면, 냉장고 속에 음식물 냄새가 가득 찬다. 김치통 위에 랩을 덮고 뚜껑을 닫으면 통과 뚜껑 사이 틈새로 냄새가 새어 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