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식품 보관 용기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 유리와 플라스틱 용기다. 각각 장단점이 있다. 유리 용기는 내열성이 뛰어나서 오븐이나 전자레인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음식의 냄새나 색도 배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한 친환경적이며 재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무겁고 깨질 위험이 있다는 점은 단점이다. 플라스틱 용기는 가볍고 휴대성이 좋아 외출 시에 유용하다. 또 값이 저렴하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이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그러나 음식 냄새나 색이 배는 경우가 있고 고온에서 사용할 때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플라스틱 용기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주방의 큰 관심사다.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음식을 먹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여러 연구가 있었다. 최근 해외 언론에 보도된 중국 닝샤의대의 연구에 따르면 플라스틱 용기를 자주 사용할수록 울혈성 심부전 위험이 13% 증가했다. 울혈성 심부전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심장이 신체 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로, 심장의 기능이 감소되는 질환이다. 플라스틱 용기에서 침출된 화학물질이 장내 미생물군을 변화시키고 염증을 일으켜 장내 염증이 혈류로 유입돼 심장을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많은 사람들이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조리하면 영양소가 파괴된다고 믿는다. 과연 그럴까? 음식마다 조리법마다 조금은 다르긴 하지만 정답은 "아니다"에 가깝다. 오히려 전자레인지 활용은 음식이나 야채의 영양소를 잘 유지하는 훌륭한 조리법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음식을 데운다. 마이크로파가 음식에 투사되면 음식 속 물 분자가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열로 변환시킨다. 이 열은 음식 내부에서 분자들을 진동시켜 음식이 빠르게 가열된다. 이 때문에 삶거나 튀기는 것에 비해 영양 손실이 적으며, 수분을 쓰지 않고 가열하기 때문에 비타민 C같은 수용성 비타민이 많이 손실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2014년 미국 케이블 방송국 터너 브로드캐스팅의 라이프스타일 방송 ‘업웨이브’(Upwave)에서는 식품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영양소가 파괴된다는 소문이 진실인지를 시험해봤다. 그 결과 영양소 손실은 걱정할 정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음식에 물을 약간 넣어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어떤 조리법보다 비타민과 무기질을 많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금치를 가스레인지로 조리하면 엽산의 70%가 빠져나갈 수 있다고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음식을 배달시키거나 포장해서 가져올 때, 전자레인지에 음식물을 데울 때 사용하는 비닐랩이나 비닐봉지는 건강에 해로울까. 특히 음식을 배달시키면 뜨거운 국물이 매우 얇은 랩에 덮여오곤 한다. 전자레인지에 음식물을 데우거나 해동할 때 비닐랩을 쓰는 사람도 많다. 그럴 때는 비닐랩 속의 환경호르몬이 음식에 녹아들진 않을지 걱정이 된다. 비닐랩은 음식을 보호하기도 하고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건강에 안 좋을 수 있다. 랩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가정용으로는 보통 PE(폴리에틸렌) 랩을 쓴다. 전자렌지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뜨거운 식품 포장용으로 써도 문제가 없다. 가소제가 포함되지 않아 안전하다. 보통 음식물 용기를 씌울 때 쓰는 용도로 많이 팔리는 클린랩 같은 제품이다. 그러나 대부분 업소에서 사용하는 랩은 PVC(폴리염화비닐) 랩이다. PVC 랩은 유연성과 신축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호르몬 일종인 프탈레이트류 가소제를 15~30% 정도 사용한다. 이런 랩은 열을 가하면 환경호르몬이 나올 수 있어서 전자레인지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VC랩은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하면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분류되는 DE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