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7879건이다.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안약 사용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수술은 언제쯤이 가장 적당할까.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달라 수술 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렵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생활하는 데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거나 양쪽 눈 모두 백내장이 있더라도 한쪽 눈이 많이 진행하지 않은 경우라면 수술하지 않고 경과를 지켜보는 게 좋다.
환자의 연령이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 조기에 수술하는 게 좋은 경우도 있다. 향후 환자의 몸 상태가 악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수술을 권장한다. 또 백내장으로 인해 녹내장이나 포도막염 등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다면 빠르게 수술하는 것이 좋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등을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운전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백내장 수술 시간은 30분 내외로 짧다.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수술 다음 날부터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삽입된 인공수정체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데는 한두 달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염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소염제 등 처방받은 안약을 잘 점안해야 한다.
또 인공수정체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눈에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자는 동안 무의식적으로 눈을 비비거나 건드리면 눈에 자극을 주고 인공수정체 탈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후 약 한 달간은 취침 시 안대 착용을 권고한다.
헬스, 수영 등의 운동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정 기간 사우나, 목욕, 염색도 피한다.
회복 과정에서 관리가 미흡하면 시력 회복이 늦어질 수 있고 만약 감염이 발생하면 수술로도 개선하기 어려운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