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보건과경제고위급회의에서
“노인이 단순히 보호 대상이 아닌 사회와 경제의 주체로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1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막을 내린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보건과 경제 고위급 회의(HLMHE) 브리핑에서 21개 회원경제(member economies)가 이런 내용의 공동성명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을 통해 회원경제들은 ▲건강하고 활기찬 고령 사회 구현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한 보건 시스템 구축 및 접근성 강화 ▲디지털 헬스 및 인공지능(AI)을 통한 보건혁신 촉진 ▲지역사회 기반 보건·돌봄 서비스 강화 ▲회복력 있고 효율적인 보건의료 공급망 구축 ▲생애주기별 통합적 암 관리 확대 등에 합의했다.

의장으로서 이번 회의를 주재한 정 장관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저출산과 급격한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 중”이라며 “이는 노동력 감소와 사회보장 지출 확대라는 이중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동성명문에서는 노인이 단순히 보호 대상이 아니라 사회와 경제의 주체로 활발히 활동하도록 정책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AI 디지털 기술은 조기 진단과 맞춤형 진료, 치료 성과 개선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며 “공동성명문은 이러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되 개인정보 보호 등 제도적 보호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밖에 “코로나19는 보건 공급망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됐다”며 “보건 공급망 강화를 위해 필수의약품, 백신, 진단기기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데도 동의했다”고 말했다.
‘돌봄’에 대해선 의료와 요양, 생활지원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지역사회 안에서 연속적인 돌봄이 제공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회원경제간 형성됐다.
또 보건 공급망 강화, 암 예방·검진·치료 등 전 주기 강화, 여성의 건강 증진 필요성도 언급됐다. 정신건강 서비스 확대,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 미래 보건위기에 대한 대응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동성명문에 명시됐다.
15~16일 양일간 진행된 이번 회의에선 미래 대비 보건의료 체계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화 증진, 청년 정신건강 증진 등 크게 3가지 주제를 놓고 21개 회원경제들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