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빼는 약 ‘마운자로’로 시총 1조달러 넘은 일라이 릴리

제약사 최초 기록...2위 존슨앤존슨의 두 배
마운자로는 당뇨병·비만 치료제
국내에도 최근 출시...비용은 고가

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가 전 세계 상장 제약사 중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한화 약 1470조 원)를 돌파했다. 2위인 존슨앤존슨보다 두 배 이상 많다. 당뇨병·비만 치료제 ‘마운자로(Mounjaro)’의 폭발적 수요가 부른 결과다.

 

 

2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라이 릴리의 시가총액은 21일(현지시간) 기준 1조18억 달러(한화 약 1476조 원)로 증가했다. 제약업계 시가총액 2위 기업인 존슨앤드존슨의 4900억달러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주가는 뉴욕 증시에서 1.57% 오른 1059.70달러(한화 약 156만원)로 마감했다.

 

릴리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합산 매출은 100억9000만달러(한화 약 14조8600억원)에 달했다. 두 제품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9%·185% 증가한 매출을 기록했다.

 

일라이 릴리의 주가는 올해 들어 36% 이상 급등했고, 이달 초 시가총액이 9900억 달러(한화 약 1458조 원)를 넘어섰다. 9900억달러는 BMS, GSK, MSD, 노보 노디스크, 사노피, 화이자 등 6개 글로벌 제약사의 시가총액을 합친 수준이다.

 

당뇨병·비만 치료제 마운자로는 주 1회 피하 주사하는 GLP-1/GIP(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위 억제 펩타이드) 이중 작용제다. 미국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주성분이 터제파타이드로 동일함에도 2형 당뇨병과 비만 치료제 제품명이 각각 마운자로와 젭바운드로 다르다.

 

마운자로는 미국에서 2023년 11월에 승인돼, 2021년 6월 허가된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대비 시장 진입이 늦었다. 그러나 생산시설 확대를 통해 공급 부족 문제를 빠르게 해결했고, 노보 노디스크 대비 더 효율적인 수요 대응에 성공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조금씩 가져왔다.

 

그동안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은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였다. 키트루다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81억 달러(한화 약 11조5400억원)다. 키트루다는 올해 3분기 처음으로 매출 1위 자리를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에 내줬다.

 

마운자로는 9월 국내에도 출시됐으나 상당한 고가 약품이며 공급도 충분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