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료

독감 유행이라는데… 백신 지금이라도 맞아야 할까

지금 백신 접종하면 봄까지 예방 효과 지속
70%의 예방 효과 기대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국내 독감(인플루엔자) 유행 확산세가 거세다.  2016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증상 의심 환자는 최근 9주간 계속 증가해 2025년 1주차(2024년 12월 29일~2025년 1월 4일) 의원급 외래환자 1000명당 99.8명을 기록했다.

 

한 주 전인 12월 마지막 주 73.9명으로 이미 질병청이 표본감시체계를 구축한 지난 2016년(86.2명) 이후 8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독감 증상 의심 환자가 1주 만에 다시 기록을 갈아 치운 것이다.

 

2025년 1주차 기준 13∼18세(177.4명)에서 가장 발생이 높았고, 7∼12세(161.6명), 19∼49세(129.1명) 순으로 발생하면서 학령기 아동 청소년층 전파가 유행을 주도하고 있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중 인플루엔자 감염자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그간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이 지역사회 내 많은 점 등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다만 질병청은 향후 1~2주 이후 유행의 정점은 지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겨울이 정점을 맞으며 이제와서 백신을 맞아봤자 부작용만 생길 뿐 예방 효과가 있을까 의심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렇지 않다. 아직도 늦지 않았다.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은 약 2주 후 효과가 나타난다.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백신을 접종하면 봄까지 효과가 지속되므로 반드시 맞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독감 백신은 70% 정도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요즘 출시되는 독감 예방주사는 부작용이 적고 부작용이 있어도 1~2일 이내에 사라진다.

 

아직도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이 많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어린이와 65세 이상의 독감 백신 접종률은 전년도보다 낮은 상황이다.

 

특히 고위험군에게는 독감이 치명적이다. 65세 이상 고령층, 임신부, 어린이 등 고위험군이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폐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독감은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고열과 심한 두통을 동반하며 오한과 함께 몸을 얻어맞은 듯한 근육통이 따른다. 경미한 발열과 몸살 증상이 나타나는 감기와는 차이가 있다.

 

증상이 발생한 후 48시간 안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된다. 평소 건강한 사람이라면 독감에 걸렸을 때 3~5일 지나면 심한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해 1주 이상 지나면 대부분 낫는다.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다. 실내 공기를 따뜻하고 건조하지 않게 유지하며 2시간마다 10분씩 환기하는 게 좋다. 물을 충분히 마셔 목을 건조하지 않게 유지해야 한다.

 

가장 효과적인 건 손 씻기다. 대부분 손바닥만 문지르는 경우가 많은데 30~40초의 충분한 시간을 갖고 손등, 손가락 사이, 손끝, 엄지손가락을 꼼꼼히 씻어야 한다. 사람이 많은 곳은 가급적 피하고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과로나 스트레스, 음주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지면 적은 양의 바이러스로도 독감에 걸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