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정부는 2010년부터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양성평등 수준을 가늠하고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국가성평등지수’를 조사하고 발표해 왔다.
국가성평등지수가 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
여성가족부는 17일 “2023년 국가성평등지수가 65.4점으로 2022년(66.2점) 대비 0.8점 하락했다”고 밝혔다.
국가성평등지수는 3대 목표·7개 영역·23개 지표에 걸쳐 여성과 남성의 격차를 측정한다. 완전 평등 상태는 100점, 완전 불평등 상태는 0점이다.
2023년 영역별 성평등 수준을 보면 교육(95.6점)이 가장 높았고, 건강(94.2점), 소득(79.4점), 고용(74.4점), 양성평등의식(73.2점), 돌봄(32.9점), 의사결정(32.5점)이 뒤를 이었다.
가장 크게 나빠진 영역은 양성평등의식으로 전년 대비 6.8점이나 줄었다. 특히 양성평등의식 영역 세부 지표 중 하나인 ‘가족 내 성별 역할 고정관념’은 60.1점에서 43.7점으로 16.4점 줄었다. 돌봄 영역도 33.0점에서 32.9점으로 소폭 낮아졌다.
이동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통계센터장은 “가족 내 성역할 고정관념은 정량적 지표가 아닌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을 반영한 특성이 있어 명확한 하락 원인을 분석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도 “코로나19 이후 돌봄 기관이 미운영되거나 원격 수업 등으로 (여성의) 가족 내 가사 돌봄이 늘어난 점 등이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에 의사결정 영역은 30.7점에서 32.5점으로, 고용 영역은 74.0점에서 2023년 74.4점으로, 소득 영역은 78.3점에서 79.4점으로 개선됐다.

우리나라 국가성평등지수는 조사 첫해 66.1점을 시작으로 매년 상승해 2021년 75.4점까지 올랐다.
지역별 성평등지수를 보면 상위 지역(74.05∼71.57점)은 서울·대전·세종·충남·제주가 꼽혔다. 중상위 지역(70.84∼69.83점)에는 대구·광주·강원·전북이, 중하위 지역(69.76∼69.07점)에는 인천·경기·충북·경남이, 하위 지역(68.72∼67.74점)에는 부산·울산·전남·경북이 포함됐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국가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평등의식 확산과 돌봄 정책 강화 등 우리 사회의 성평등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