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위암이 동아시아에 집중된 이유…“역시나 가족력”

서울대 등 3국 연구팀, 55만 명 15년 추적
“부모·형제자매 가족력 땐 위암 위험 1.5배 높아”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위암만큼 동서양의 발생률 편차가 큰 암은 없다. 위암 환자의 60% 이상은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몰려 있다.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만 명 이상 새 환자가 발생하고, 80만 명이 사망한다. 한국인의 위암 발병률은 전 세계에서 일본, 몽골 다음으로 높다. 위암은 한국 남성 암 중 두 번째를 차지한다.

 

동아시아 3국에 위암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선 많은 연구가 이뤄졌는데, 명확하게 규명되진 않았지만 대체로 가족력이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가 이끄는 한·중·일 3개국 공동 연구팀이 그 요인을 보다 설득력 있게 제시한 대규모 역학 조사를 마쳤다.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위암’(Gastric Cancer) 최신호에 동아시아인 55만 508명(일본 33만 303명, 중국 16만 4277명, 한국 5만 5928명)을 대상으로 15.6년을 추적 분석한 결과, 위암 가족력이 위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이는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추적 관찰 기간 중 위암 발생 건수는 2258건, 위암 사망 건수는 5194건이었다.

 

연구팀은 동아시아인이 가족끼리 밀접하게 공유하는 특유의 생활환경 요인이 위암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상호 작용해 위암 발생 위험을 더욱 높인다고 추정했다. 예를 들면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습관이 아들은 형제끼리 더 공유되고, 딸은 어머니를 더 닮는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식습관과 사회‧경제적 생활환경,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흡연 등이 개인의 유전적 요인에 더해지면서 위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위암 가족력을 가진 동아시아인의 위암 발병률이 가족력이 없는 사람과 비교해 1.44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나라별 위험도는 한국이 1.5배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일본 1.47배, 중국 1.31배였다.

 

위암 가족력에 따른 위암 발생 위험도는 55세 미만이 1.64배로, 55세 이상 1.35배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조기에 위암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같은 조건에서 위암 발생의 성별 위험도는 남성(1.44배)과 여성(여성 1.45배)이 비슷했다. 다만 남성의 경우 형제 중 위암 가족력이 있을 때의 위암 발생 위험(1.94배)이 아버지가 위암인 경우(1.57배)보다 더 높았다. 여성은 위암 가족력이 어머니에게 있을 때의 발생 위험이 1.82배로, 아버지의 1.75배보다 높았다.

 

가족력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비슷한 연구는 다른 연구 논문에도 있다. 이대목동병원·한양대병원·강북삼성병원 공동 연구팀이 2022년 ‘미국위장관학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부모나 형제자매 중 위암 발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위암과 위 선종 위험도가 각각 1.48배, 1.44배로 더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팀은 2013∼2014년 전국에서 위암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448만 3605명을 대상으로 5년에 걸쳐 위암 발병 여부를 추적했다.

 

이 연구에서는 형제자매 쪽 가족력(형제자매 중 한 명 이상이 위암)이 있는 사람의 위암 발생 위험이 1.59배로, 부모 쪽 가족력(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위암)이 있는 사람의 1.40배보다 더 높았다. 양쪽에 가족력이 다 있으면 2.26배로 치솟았다.

 

한중일 3국 공동연구를 주도한 강대희 교수는 “위암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과 사망률이 감소했으나 한·중·일 3개 국에서는 여전히 가장 흔한 암”이라며 “우리나라는 40대부터 2년에 한 번 위내시경 검사를 권장하지만, 부모 또는 형제자매 중 가족력이 있다면 1년에 한 번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강 교수가 또 2022년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30대 중반에 비만인 사람은 같은 나이의 정상 체중 사람보다 위암 발병 위험이 갑절에 달하는 1.94배나 됐다. 비만인 남성은 정상 체중 대비 1.79배, 여성은 2.35배 발병 위험이 높았다.

 

또 강 교수의 다른 연구에서는 소량이라도 1주일에 5회 이상 음주를 지속하면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위암 발병 위험이 46%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