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 다시 학교로 복귀…‘수업 참여’가 관건

'등록투쟁'으로 이어질지가 관건
내년도 의대 입학 정원 미정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교육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5시까지 19곳이 거의 전원 복귀했다.

 

의료 개혁은 선배 의사들에게 맡기고 학업에 정진해달라는 스승의 설득과 올해도 휴학하면 학칙대로 제적 처분하겠다는 대학의 압박에 의대생들이 결국 미등록 휴학을 철회하고 속속 학교로 돌아왔다.

 

특히 빅5와 거점 국립대 의대를 중심으로 전원 복귀가 이뤄지면서 의대 교육 정상화도 목전에 두게 됐다. 이제 남은 숙제는 학생들의 성실한 수업 참여뿐이다.

 

각 대학에 따르면 정부가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전원 복귀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5시까지 전국 의대 40곳 중 최소 19곳이 모두 복귀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등 이른바 빅5와 고려대, 조선대, 충북대, 충남대, 부산대, 중앙대, 을지대, 경희대, 경북대, 차의과대, 이화여대, 경상국립대, 가천대, 전남대 등이다.

 

4월까지 등록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까지 복귀 데드라인이 마감된다.

 

 

등록 이후 첫 수업 날인 31일 대부분의 의대에서 등록률만큼의 수업 참여가 이뤄지지 않았다. 많은 의대 학생회가 결정한 것처럼 등록은 하되 수업은 거부하는 형태의 ‘등록 투쟁’으로 이어질 조짐이 보인다.

 

교육부는 등록률과 복귀율을 모두 고려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결정할 방침이라 이번 주 의대생의 수업 참여 여부가 관건이다.

 

교육부는 이날 “등록 후 수업 거부(등록 투쟁)를 모든 학생에게 요구할 경우 재학 중인 대학에 따라 제적되는 곳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등록을 했어도 1개월간 무단 결석시 제적되는 학교가 있고, 출석 일수가 모자라면 F학점을 받고 유급 처리가 되는 건 대부분이며 유급 횟수가 쌓이면 제적되는 학교도 있다”며 “지혜로운 결정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언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동결 여부를 발표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정상적으로 수업이 운영되는지 여부는 각 대학이 판단할 수밖에 없어 모집인원은 대학 총장, 의대 학장이 다 같이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4월 공고된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하려면 각 대학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4월 30일까지 신청해야 하는 만큼 시간은 한 달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