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심성신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교수 질염은 여성 생식기인 질에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이 침입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여성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뿐 아니라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염의 종류와 원인 젖산균은 질 내 산도를 유지함으로써 병균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한다. 어떤 원인이든 질 내 환경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즉 젖산균이 줄어서 질 내 산성도가 떨어지면 감염 위험성이 높아진다. 폐경, 정액 유입, 질 세정 제품 사용, 감염 등으로 질 내 환경이 알칼리성으로 바뀌면 쉽게 염증이 일어난다. 더불어 질염은 여성의 연령과 호르몬 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에스트로겐과 성생활에 따라 산성 환경 유지가 달라져 감염에 대한 방어력이 다르므로 맞춤형 접근이 필수다. •세균성 질염 정상적인 질균 무리에 변화가 생길 때 발생하는 감염 질환으로, 질 내 유익균인 젖산균이 없어지고 혐기성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면서 나타난다. 세균성 질염에서는 혐기성 세균인 가드넬라, 마이코플라스마, 유레아플라스마 등의 집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2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물론 세계 최저 수준이다. 그간 출생률을 높이기 위한 법적 제도적 지원 방안들이 숱하게 거론됐다. 그중 늘 빠지지 않고 나오는 말이지만 아직은 실행이 요원해보이는 게 있다. 바로 비혼출산과 동거 가족 형태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다. 정부도 긍정적으로 생각은 하고 있지만 아직 사회적 관습과 편견에 부딪쳐 본격적으로 나서지는 못한 어정쩡한 상태다. 어버이날인 8일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YTN 라디오에 출연해 저출산 해결 방안에 대한 질문을 받고 “우리나라도 비혼 출산이 많아져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아이를 낳고 키우려고 한다면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많이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결혼해야만 아이를 낳기 때문에 혼인 건수가 많아지면 합계출산율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비혼출산에 대한 세계적 추세는 어떨까. 여러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OECD 국가의 평균 비혼출산율은 41.0%다. 나라별로는 프랑스 65.2%, 노르웨이 58%, 스웨덴 57.8%, 덴마크 54%, 영국 51.4%, 미국 39.8%, 호주 3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당뇨가 더이상 중노년층만의 질병이 아니다. 국내 20∼30대 젊은 성인들 사이에서 지난 10년 사이 유병률이 두 배 가까이 치솟았다. 2020년 기준으로 약 37만 명의 젊은 성인(20대~30대)이 2형 당뇨병을 앓고 있다. 특히비만과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한당뇨병학회의 학술지 ‘당뇨병과 대사 저널’에 최근 실린 ‘한국 2형 당뇨병 젊은 성인의 유병률, 발생률 및 대사 특성(2010∼2020년)’ 논문에 따르면 2010년 1.02%였던 국내 19∼39세 젊은 성인의 2형 당뇨병 유병률은 10년 만인 2020년 2.02%로 두 배가량 증가했다. 특히 30대 유병률은 2010년 2.09%에서 2020년 3.9%로 증가했다. 남성 유병률이 여성보다 높고, 증가 속도 역시 남성이 더 빠르다. 주목할 점은 젊은 2형 당뇨병 환자 상당수가 비만을 동반한다는 사실이다. 2형 당뇨는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분비가 되지만 생활습관 등 문제로 작용 효과가 떨어지는 일반적 당뇨를 말한다. 1형은 유전적 소인에 의한 것으로 인슐린 자체가 분비되지 않는 특이한 경우다. 2020년 기준으로 이들 젊은 당뇨 환자의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과일은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큰 오산이다. 다이어트 하는 사람들이 밥이나 빵 같은 탄수화물 대신 과일을 많이 먹기도 한다. 과일은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 성분 및 섬유질이 풍부하여 건강에 유익하지만, 과다 섭취 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과일에 함유된 과당 때문인데, 과당은 섭취량과 타이밍에 따라 체지방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과일 속 당분은 체내에 곧바로 흡수되어 포도당, 과당 등의 형태로 저장된다. 식후 입가심으로 먹는 과일은 밥이나 빵보다 체내에 더 빨리 흡수되는데, 먹으면 혈액 중 포도당 농도가 금세 높아져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어 식사 때 섭취한 지방이 지방세포로 바뀌면서 비만을 유발한다. 과당은 다른 당류에 비해 간에서 지방으로 전환되는 비율이 높아 과다 섭취 시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과일 섭취 후 에너지 소비가 적은 저녁 시간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과일 섭취 시 칼로리와 혈당 지수(GI)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GI 지수가 높은 과일은 혈당을 빠르게 상승시켜 인슐린 과잉 분비를 유도하고, 이는 체지방 축적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유방암은 한국인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유방암 신규 환자는 3만 명을 넘어선 3만665명(여 3만536명, 남 129명)으로 추산됐다. 이는 국내 여성 암 발생의 21.8%를 차지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유방암과 관련해 의학계에서 일치된 결론이 나지 않는 게 있다. 바로 유제품 섭취가 유방암 예방에 좋은지 나쁜지 여부다. 우유, 요거트, 치즈 등 유제품 섭취량이 많을수록 유방암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고 완전 상반된 연구 결과도 있다. 유제품을 먹는 게 유방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는 유제품에 함유된 에스트로겐과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IGF-1)과 같은 호르몬이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반대 이론은 유제품에 풍부한 칼슘과 비타민D가 유방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종양 발달을 막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유제품 섭취와 유방암 발생의 연관성에 대해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국제학술지 ‘영양 연구’(Nutrition Research) 최신호에 따르면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역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봄이면 적지 않은 사람들이 눈을 비비고 코를 훌쩍인다. 꽃가루와 미세먼지에 반응하는 면역 시스템 때문이다. 피부는 두꺼운 각질층으로 보호받지만 눈과 코는 외부 세계와 직접 맞닿은 섬세한 점막 조직이어서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염증을 일으킨다. 봄철 알레르기는 집중력과 수면을 방해하는 고질적인 계절 질환이다. ◇눈 건강 관리 눈이 가려울 때 손으로 문지르는 습관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결막염을 악화시키고 각막 손상을 유발한다. 대신 냉찜질로 눈 주변의 혈관 수축과 염증 완화를 유도하는 게 좋다. 눈이 건조하다고 느껴질 때 생리식염수를 장기간 사용하면 눈물층의 균형이 깨진다. 보존제가 없는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다. 눈을 깜빡이는 횟수를 의식적으로 늘려주는 것도 안구 건조 예방에 도움이 된다. 눈꺼풀에는 마이봄샘이라는 기름샘이 줄지어 분포해 있다. 이 샘은 눈물의 증발을 막아주는 지질층을 분비한다. 샘이 막히면 눈물이 빠르게 마르면서 눈이 뻑뻑하고 따가운 증상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장애라고 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환자에게서 자주 동반된다. 아침저녁 세안 시에는 속눈썹 주변까지 꼼꼼히 씻어주는 게 예방법이다.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세계 최저 출생률을 기록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인구 4천만 명 이상 나라 중에서 어린이(0∼14세) 인구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일본 총무성이 유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 4천만 명 이상 국가 37개 국의 어린이 인구 비율을 발표했다. 5월 5일은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어린이날이다. 지난해 한국의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비율은 10.6%로 가장 낮았다. 2019년까지는 일본 유소년 인구 비율이 최저였으나 2020년부터는 우리나라가 최저가 된 것이다. 일본 어린이 비중은 11.1%로 조사됐다. 일본은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50년 당시 어린이 수 2943만 명과 비교하면 46%나 줄어들었다. 한국에 이어 어린이 인구 비율이 낮은 국가는 이탈리아(11.9%), 스페인(12.9%), 독일(13.9%), 태국(14.7%) 등이다. 중국(16.0%), 프랑스(16.5%), 영국(17.2%), 미국(17.3%) 등은 16~1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조사한 38개 회원국 중에서도 한국이 유소년 인구가 가장 적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0~14세 인구는 11.5%로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올해 나이 116세로 세계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으로 기록된 브라질 수녀 이나 카나바호 루카스 수녀가 4월 30일 별세했다.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의 테레사 수녀회는 카나바호 수녀의 별세 소식을 알리며 “그가 생전에 보여준 헌신과 열정에 감사한다”는 내용의 애도문을 발표했다. 카나바호 수녀는 장수 노인 연구단체인 노인학연구그룹(GRG)과 론제비퀘스트의 집계 기준으로 지난 1월 일본의 이토카 도미코 할머니가 116세로 사망하자 이어서 세계 최고령자가 됐다. 1908년 6월 8일에 태어난 카나바호 수녀는 26세에 수녀가 됐다. 110세 생일에 지난달 21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으로부터 축복을 받았다. 카나바호 수녀는 110세에 거동이 불편해지기 시작해 휠체어를 사용했다. 지난 2월 브라질 수녀원 측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카나바호 수녀는 사람들과 농담을 주고받거나 야생화를 소재로 한 그림을 감상했다. 카나바호 수녀는 장수의 비결은 신앙과 긍정적인 마음가짐이라고 말했다. 그는 요양원 방문객들에게 자신의 장수 비결은 “하느님의 덕분”이라며 “나는 젊고 예쁘고 친절하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카나바호 수녀가 세상을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폐경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성욕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 변화는 개인차가 크다. 많은 여성들이 폐경기에 접어들면서 성욕이 감소한다고 말한다. 이는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수치 감소와 관련이 있다. 하지만 그 반대도 있다. 적지 않은 여성들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상대적으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이 커지면서 오히려 성욕이 증가하기도 한다. 또 임신에 대한 부담이 사라지면서 성욕이 증진되기도 한다. 그런데도 왜 폐경이 오면 성욕이 줄어든다고 생각하는 걸까? 가장 큰 이유는 ‘질의 변화’ 때문이다. 에스트로겐 분비가 줄어들면 질벽의 두께는 점점 얇아지고, 질 점막에서 분비되는 애액의 양은 감소(질 건조증)한다. 이 때문에 마찰 시 좋은 느낌보다는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라도 통증이 느껴진다면 소극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폐경이 오면 성생활을 기피하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성욕이 줄었다고 느끼는 것이다 폐경 외에도 갱년기 우울감이나 불안, 스트레스, 피로감 등도 성욕을
한국헬스경제신문 | 김윤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부교수 코는 공기가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첫 번째 공간으로, 외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찬 공기를 데우고, 공기 내의 먼지와 세균을 90% 이상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비염에 걸리면 코의 이런 기능이 저하되어 다른 호흡기 질환이 생기거나 비염이 더 악화된다. 만성 비염의 주요 원인 비염은 코점막 염증으로 코막힘, 콧물, 재채기, 코가려움증이 생기고, 만성이 되면 코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잦은 감염으로 이어진다. 이는 부비동염(축농증)과 중이염 발생, 천식 악화, 후각 상실, 코막힘으로 인한 수면 장애 등을 야기하며, 소아청소년기에는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성 비염을 감기로 오인해 제대로 치료하지 않거나, 적합하지 않은 약을 과도하게 복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흔히 만성 비염은 완치가 어렵다고 오해하는 경우도 많지만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근본적인 대책을 세운다면 매우 효과적으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만성 비염은 여러 원인이 있으나, 소아청소년에서는 알레르기 비염과 만성 감염성 비염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알레르기 비염은 특정 물질에 과민 반응을 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