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희귀질환 예측…정부, ‘AI 일상화’에 7천억 투입

산업, 행정에 AI 접목…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



AI 일상화로 달라지는 국민 삶.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AI(인공지능) 활용은 전 분야에 확산되고 있지만 막상 국민 개개인이 접하기는 어려운 분야다.

 

국민이 인공지능(AI) 혜택을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정부가 올해 7000억 원 이상을 들여 ‘AI 일상화’를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전경련회관에서 민·관 합동 AI 최고위 거버넌스인 AI전략최고위협의회 첫 회의를 열고 올해 69개 AI 일상화 과제에 7,102억 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관심이 가는 분야는 건강·질병관리, 장애인·어르신 돌봄이다.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해 9종의 소아희귀질환을 진단·치료·관리하기 위한 AI 소프트웨어와 12개 중증질환의 진단 보조 AI 의료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자폐 스펙트럼 조기 예측과 관리를 위한 AI 기반 디지털의료기기 개발도 지원한다. 수요는 많으나 민간이 하기는 어려운 분야다.

 

또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건강관리와 법률 서비스, 신약 개발,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등에도 AI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대표적 사례가 AI를 활용해 자폐 치료와 조기예측, 선별·진단 등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자폐성 장애 치료・관리를 위한 AI 기반 뇌발달질환 디지털의료기기 개발 지원 사업에 80억 원, 자폐스펙트럼 조기예측과 장애아동 사회성·의사소통·이상행동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에 30억 원을 지원한다.

 

전체 추진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 일상 속 AI 행복 확산’ 사업으로 18개 과제(755억원)를, ‘근로자 등 일터 현장의 AI 융합·접목’ 사업으로 24개 과제(2881억 원)를, ‘공공행정 AI 내재화’ 사업으로 14개 과제(1157억 원)를, ‘국민의 AI 역량 제고와 AI 윤리 확보’ 사업으로 13개 과제(2309억 원)를 시행한다.

 

공공 분야에서는 AI 기술로 화재나 홍수 등 재난과 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일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민의 AI 서비스 경험률을 지난해 51%에서 올해 60%로, 기업들의 AI 도입률을 28%에서 40%로, 공공 부문 AI 도입률을 55%에서 80%로 높이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AI 기술혁신과 전 산업의 AI 대전환, 디지털 권리장전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신질서 정립 등 혁신성장전략을 추진해 AI 3대 강국 도약이란 목표를 제시했다.

 

AI전략최고위협의회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를 비롯해 민간 전문가와 정부 부처 실장급 등 32명으로 구성됐다. 네이버와 카카오, SK텔레콤과 KT,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 기업 대표와 학계 전문가들도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