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치료 가능 사망’이란 의학계 용어가 있다. 말 그대로 치료가 가능할 수 있었지만 적정한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한 경우를 일컫는다.
그런 사람이 연간 얼마나 될까.
3000명쯤으로 추산된다는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차의과대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연구팀(김규석·박수현·현정호)은 2020년 국가응급환자 진료정보망(NEDIS) 빅데이터를 토대로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패혈증 등 급성 중증질환의 병원 내 사망률을 지역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가 전체의 의료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모델로 ‘치료 가능 사망’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정책이 수립될 경우의 사망률 추정치를 제시했다.
목표 사망률은 국가 전체를 기준으로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눠 분석했다. 단기는 국내 평균 사망률을, 중기는 국내 최저 사망률을, 장기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22년 제시한 최저 국가 사망률을 각각 기준으로 삼았다.
이 결과 중기 목표를 달성할 경우 1년 동안 전국적으로 급성심근경색증 749명, 뇌졸중 958명, 패혈증 1천552명의 사망자를 각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최근 한정된 의료 인력과 시설 등의 문제로 필수 의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이번 치료 가능 사망 분석 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하면 국가 차원에서 치료할 수 있는 중증질환을 찾아내 사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김규석 교수는 “지역 별로 문제가 되는 중증질환이 다른데도 중앙정부에서 일괄적인 정책을 내놓고 지자체가 이를 무조건 따르는 방식을 벗어나야 지자체 맞춤형 의료 정책을 펼칠 수 있다”면서 “빅데이터 기반의 치료 가능 사망자 분석이 그 토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응급의학 저널'(AJEM·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