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기자 |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톡소플라스마 원충이란 무엇인가 톡소플라스마 원충은 세포 내에 기생하는 원충성 기생충으로 톡소플라스마증을 유발한다. 톡소플라스마 원충의 종숙주는 고양이 및 고양잇과에 속하는 동물이며, 중간 숙주는 사람을 비롯한 기타 동물이다. 톡소플라스마 원충은 리놀레산이 풍부한 고양이의 장에서 기생하여 번식한다. 따라서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고양이의 대변에 노출될 경우 사람 역시 감염된다. 고양이 깔개나 배변 모래 등을 교체한 후 손으로 입 주변을 만지면 톡소플라스마 원충이 체내로 들어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톡소플라스마 원충 감염은 야외에서 생활하는 고양이들에게 주로 일어나고, 가정에서 생활하는 반려묘들은 톡소플라스마 원충에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톡소플라스마 원충에 감염된 쥐는 두려움이 감소 톡소플라스마 원충은 숙주를 조정하는 독특한 기생충으로 알려져 있다. 톡소플라스마 원충에 감염된 쥐는 고양이 오줌 냄새 혐오감이나 고양이에 대한 선천적 두려움이 감소하여 조심성이 떨어지고 더 활발하게 활동해서 결과적으로 고양이에게 포식당할 위험이 높아진다고 한다. 즉, 톡소플라
한국헬스경제신문 | <오상호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교수> 백반증은 자가면역 기전에 의해 피부에 있는 멜라닌세포가 선택적으로 면역세포에 의해 파괴됨으로써 소실되어 저색소 및 탈색소 반점이 지저분하게 나타난다. 나라별·인종별 또는 보고자에 따라 유병률에 차이가 있지만 전 인구의 0.5~1%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팝의 황제로 불렸던 가수 마이클 잭슨이 이 질환을 앓으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백반증이란 백반증은 피부색의 이상 변화 외에는 가려움증이나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지 않기 때문에 병원 방문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피부의 특정 부위에서 멜라닌세포가 손상 및 소실되면 점차적으로 피부색이 흐려지고 결국 경계가 명확한 백색의 탈색반이 나타난다. 모낭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에 손상이 이루어지면 피부색뿐 아니라 백반증 병변 내에 있는 털색깔도 하얗게 변화한다. 이 질환은 통각 증상 없이 색소의 변화만 있어서 단순 미용 문제 또는 중요치 않은 질환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하얀 반점이 피부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고 지저분한 모양과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들은 백반증 발생·진행·악화 등에 대한 걱정으로 많은 정
한국헬스경제신문 | <김은주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부교수> 학년이 새롭게 시작되는 3월은 아이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해서 스트레스가 커지는 시기이다. 이때는 새 학기 증후군을 비롯하여 아이들의 불안감과 함께 틱 증상도 심해져 소아정신과를 찾는 경우가 많아진다. 틱 장애의 여러 증상 틱은 자기도 모르게 얼굴 또는 목·어깨·몸통 등 신체 일부분을 빠르고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운동틱), 불필요한 소리를 반복적으로 내는(음성틱) 증상을 보이는 신경학적 장애이다. 운동틱으로 는 눈 깜빡임, 곁눈질, 코 찡그리기, 입 벌리기, 머리 흔들기, 목 움직이기, 어깨 으쓱하기, 팔 흔들기 등이 흔하고, 음성틱에는 헛기침, 목 가다듬기, 킁킁거리는 소리 내기, 입술 빠는 소리 내기, 상황과 관계없는 말 반복하기 등의 증상을 보인다. 틱은 일시적으로 억제는 가능하지만, 스트레스에 따라 증상 악화와 완화가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과성 틱은 남아의 경우 다섯 명 중 한 명에서 발병할 정도로 흔하지만, 만성틱이나 투렛 증후군은 1% 정도로 상대적으로 발병 비율이 낮은 편이다. 원인과 양상 틱 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유전적 요인과
한국헬스경제신문 <장준 하나로의료재단 강남센터 원장, 호흡기 내과 전문의>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anary Disease)는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때문에 기도가 좁아지고 숨을 쉴 때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폐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COPD의 가장 주된 발병 원인은 흡연이며, 기도와 폐에 염증에 의한 손상이 누적되는 것이다. 흡연 외에 직업적 노출(먼지, 연기, 가스), 대기오염, 실내외 미세먼지, 호흡기 감염 반복, 유전적 요인, 폐 성장 부족 등 여러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며, 65세 이상, 저소득층, 과거 흡연자, 폐결 핵 등에서도 흔하다. 기관지 천식을 앓고 있는데 흡연을 하면 COPD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호흡곤란이 천천히 진행하고 기침, 가슴에서 올라오는 가래, 숨 쉴 때 가랑가랑 또는 쌕쌕, 휘파람 같은 소리가 나타난다. 숨이 차서 평지를 천천히 걸어야 하고 걷다쉬다를 반복한다. 옷 갈아입기 · 세면· 빗· 식사 등의 일상생활도 힘들 수 있다. 입을 오므리고 천천히 숨을 내쉬기도 하며, 심한 경우 손톱과 입술색이 푸르고 몸이 붓는 경우도
한국헬스경제신문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스포츠의학실> | 세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무엇일까?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치타’이다. 치타는 먹잇감을 사냥할 때 114km/h로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영양’은 80km/h로 넓은 초원을 뛰어다닌다. 반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간인 ‘우사인 볼트’의 달리기 최고 속도는 45km/h로 동물에 비하면 한없이 부족한 속도이다. 과거 200만 년 전, 현 인류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이렇게 빠른 동물을 어떻게 사냥했을까? 답은 간단하다. 끝까지 쫓아갔다. 인간에게는 동물과 다르게 지구력이라는 큰 신체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능력을 이용하여 인간은 빠르게 달리는 동물들을 사냥할 수 있었다. 동물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인간의 지구력이 동물보다 뛰어난 이유는 바로 체내 열을 관리할 수 있게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동물처럼긴 털이 없는 인간은 수백만 개의 땀구멍으로 체내 열을 조절하면서 동물이 지칠 때까지 쫓아가사냥할 수 있었다. 이렇듯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다른 동물보다 더 잘 달릴 수 있었으며, 잘 달리는 것이 인간의 본능이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한국재난안전뉴스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스포츠의학실> | 이틀 뒤에 시험이라면 한 글자라도더 공부해야할 텐데 운동이라니. 답답함에 언성이 높아질지도 모른다. 평소에 운동을 꾸준히 했더라도 며칠만은 시험공부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미국 ‘네이퍼빌 고등학교’의 이야기를 아는 사람들이라면 그리 걱정은 덜할 것이다. 미국 일리노이주 네이퍼빌 고등학교는 0교시에 1.6km 달리기를 하는 체육수업을 배치했다. 한 학기 동안 0교시 체육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0교시 체육수업에 참가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평균 성적 상승률이 2배 높았다. 읽기와 문장이해력은 학기 초에 비해 17%나 증가했다. 위의 사례가 아니더라도, 아동·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뼈의 성장 을 돕고 근육을 발달시키며, 대사기능과 심폐기능 등의 증 진에 도움이 된다. 또 비만을 예방해 다양한 합병증의 발 병 위험을 낮춘다. 그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을 향상하여 학업성취도 증가에도 도움을 주며 우울증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우리나라청소년들의신체활동참여율은저조한상 황이다. 2017년 OECD 통계에 따르면 방과 후 체육 활동 에 참여하는